생각은 죽지 않는다
편견이라는 것은 한번 자리잡으면 쉽사리 변하지 않는 것이어서 우리가 다각도로 사고하는데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특히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게 된 내용이나 여러 사람의 구변을 통해
접한 내용들은 곧이곧대로 받아들여 지는데, 스마트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스마트기기의
도움으로 게을러지거나 더 이상 생각하려 들지 않는다는 인식 또한 편견이라 할 수 있겠다.
위 예는 어느 정도는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스마트기기의 출현이 인류를 퇴보시킨다는 생각은
좀 위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념들을 뒤집는 내용으로 과학기술 분야의 베테랑 저널리스트인
클라이브 톰슨이 지은 책이 바로 ‘생각은 죽지 않는다’이다.
1장 ‘켄타로우스의 등장’에서는 이미 슈퍼컴퓨터가 세계 체스 그랜드 마스터를 이겼지만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직관은 아직 흉내 낼 수 없으며, 인간과 슈퍼컴퓨터가 함께 협력하여 체스 경기를
할 때 더욱 더 복잡하고 현란한 경기를 펼칠 수 있다는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는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는 개념이 아닌 인간과 기계가 협력할 때의 시너지, 즉 반인 반수인 켄타로우스가
디지털 세상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2장 ‘완전한 기억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좀더 괴팍스러운 사람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데,
생의 보다 완전한 기억을 위해 우리의 기억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외부 저장매체에 모든
생활을 기록하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목에 걸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본인의 생활을
실시간으로 모두 녹화하는 사람, 유아의 언어발달 과정을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해 아이가
갓 태어난 시점부터 본인의 집에 수십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녹화하는 사람들이
그 주인공인데, 이 사람들이 저장한 어마어마한 용량의 데이터들은 그들의 뇌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사실들을 올바른 기억으로 돌려줄 수 있을뿐더러, 그들과 접촉한 주변인들의 과거까지도
기록된 진실에 기반하여 확인해 줄 수 있다. 상당히 엉뚱해 보이는 이러한 발상이 시사해 주는
점은 온전하지 못한 기억에 의존하려 애쓰는 것 보다는 확실한 메모리에 의존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유가 생길 수 있는 우리의 뇌를
다른 곳에 집중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후의 챕터들에서 다루는 것들도 매우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으며 우리가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온라인을 통한 생각의 공개나, SNS를 통한 상태 업데이트들이 단순히
디지털 시대의 소음들이 아닌 긍정의 side effect들을 만들어 내고 있는 사실들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책에서는 기술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고 많은 부분 동의가 되지만,
편견이 우리의 눈과 사고를 가릴 수 있다는 전제와 같이 기술이 우리의 사고 패턴을 좋은
쪽으로 바꾸는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는 아직 더 두고 봐야 할 일일 것이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볼 때 새로운 도구의 출현은 새로운 적응력을 만들어 냈고, 인류는 보다
현명하게 이를 다룰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7번 읽기 공부법
일본과 한국의 유사점을 찾아보면 자기계발 분야에 있어서 이런저런 법칙에 많이들 열광하는 것
같다. 이렇게 저렇게 하는 방법론 적인 자기계발은 어찌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어찌 보면 뻔한
이야기 같지만 그래도 자신만의 방법을 토대로 입신양면 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또 다른
자기 자랑으로 치부해 버리기에는 아직까지는 궁금증을 유발하고 있는 것 같다.
본 책의 저자인 야마구치 마유는 도쿄대를 수석 졸업하고 재학기간 동안 사법고시와 1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대단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 일본 여성이다. 우리나라에도 그런 인재가 있었듯
마유 또한 학교공부 외에는 별다른 과외 공부를 통하지 않고 오로지 독학으로만 성과를 내었기
때문에 더욱더 언론에 각광을 받고 있는 것 같다. 저자가 소개하는 ‘7번 읽기 공부법’이란 문자
그대로 한 책을 7번 통독 함으로써 책 전체를 기억하게 함으로써 시험을 위한 공부에 최적화된
정공법(?) 적인 공부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족집게 선생이 알려주는 시험에 나올법한 문제나
문제은행들을 통달하는 것이 아닌 시험 범위의 전체를 아우르는 내용을 통달하는 방법이니
당연히 시험을 잘 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 할 수 있겠지만 단순히 7번 반복해서 읽는 것
만으로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1~3회 읽기는 가볍게 훑어보고 4~5회는 1~3회에서
이해하지 못했던 것을 중점으로 읽어 나가고 6회에서는 전체의 윤곽을 다시 잡는 방향으로 읽고
마지막 7회째에 장기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신경을 써서 읽어나가는 방식인데, 이론적으로는
납득이 가나 그 효과에는 아직 의구심이 남아 있다.
언젠가 장기기억과 관련된 통설(?)을 미디어를 통해 알게 된 것이 있는데 내용인즉슨,
한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고 그 사실이 우리의 장기기억으로 확실하게 자리 잡으려면
잊혀 질만 할 때쯤 다시 기억해 내고 또 잊혀 질만 할 때쯤 다시 기억해 내는 과정을 31회
반복하게 되면 우리 뇌의 장기기억 영역에 확고히 자리잡아 평생 지워지지 않는 기억으로
남는다고 한다. 반복학습은 확실히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로 반복해야 본인에게 확실한 효과가
있는 지는 각자의 능력 또는 성향에 따라 다를 것이므로 자기 자신에 대해 먼저 확실히
알아두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그나저나 7번 읽기라니… 대단한 끈기가 필요할 것 같다.
'My Life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림비(Limbi) (0) | 2015.06.01 |
---|---|
생각은 죽지 않는다 (0) | 2015.05.20 |
킴 (3) | 2015.04.30 |
무의식은 답을 알고 있다 (0) | 2015.04.08 |
부자의 그릇 (0) | 2015.03.31 |
킴
‘킴’ 유년시절에 모두 한번쯤은 접해봤을 ‘정글북’의 저자이자 1907년 영어권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러디어드 키플링의 ‘시대를 앞서간 작품’이란 평을 받는 작품이다.
식민지 시대의 인도를 배경으로 영국과 인도인 사이의 혼혈아로 태어나 인도에 거주하고 있는
소년 킴과 윤회의 수레바퀴를 벗어나길 갈망하는 라마승의 운명적인 만남으로 시작해
라마승이 찾는 존재할지 아닐지도 모를 강을 함께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린 것이 주된 내용이다.
‘킴’은 독자에 따라 여러 가지 입장이나 시각으로 읽혀질 수 있다. 일반적인 독자라면 한 어린
소년과 도(道)를 수행하는 라마승의 인도 북부 여행기를 재미있게 그려낸 소설로 비춰질 수 있고
영국인들에겐 정치적인 목적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소설로 읽혀질 수 있다. 그리고 식민통치를
받고 있는 인도인들의 입장에서는 정반대의 내용으로 읽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여 인도라는 지구상 그 어디에도 없는 독특한 나라에서 벌어지는 여행기를
소설로 만들어 냈다는 점이 작품과 작가의 가치를 높여준다고 볼 수 있겠다.
똑같이 식민시대를 거쳤던 한국인 독자라면 저항의 입장에서 읽어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를 찾을 수 있는 요소일 수 있겠다. 물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제3자의
입장에서 신비로운 나라에서 벌어지는 이국적인 분위기와 색다른 경험을 통하는 것도
그 자체만으로 재미를 찾을 수 있는 것이 ‘킴’의 매력이라 하겠다.
인도를 찾고 또 찾는 사람들은 인도가 품고 있는 그 ‘무엇’에 강하게 이끌림 당한다고들
하는데, 인도는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가 집약되어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일 것이다.
광활한 영토와 엄청난 인구 그리고 여러 종교가 뒤섞여 아우성 치는 혼돈과 베일이 없는
생면의 모습들에서 생의 본질을 마주할 수 있으며 본질을 찾으려 하는 본능의 이끌림이
그들로 하여금 자꾸만 인도로 이끌리게 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My Life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은 죽지 않는다 (0) | 2015.05.20 |
---|---|
7번 읽기 공부법 (0) | 2015.05.07 |
무의식은 답을 알고 있다 (0) | 2015.04.08 |
부자의 그릇 (0) | 2015.03.31 |
말하다 (0) | 201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