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불교에 관한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물음 49

장웅연 저/니나킴 그림
담앤북스 | 2016년 10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이 책을 통해 현재 진행형인 불교사상과 역사와 문화를 두루 섭렵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해박하진 않더라도 불교에 대한 지적인 대화를 나눌 수준에 이를 수 있는 길 또한 찾을 수 있다

나는 무교다. 어렸을 적에 친구를 따라 교회에 잠깐 출입한 적은 있지만 그 때의 경험이 나를 기독교인으로 만들지는 못했던것 같다. 반대로 불교는 전혀 경험해 본 적이 없다. 훈련소에서도 더 좋은 간식거리를 준다는 말에 절 대신에 성당에 나갔던 기억이 있다. 아무튼 불교에 대해서는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인지 몰라도 선입견 자체가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각 지방의 사찰은 많이 다녀본 것 같다. 국내 여행지라면 대부분 방문해 보아야 할 코스로 사찰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의미가 깊은 사찰부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까지, 각 사찰은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불교신자와 일반인을 가리지 않고 받아들인다. 서두가 길었지만 여튼 불교에 대한 선입견이 없는만큼이나 불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내게는 궁금한 것들이 더러 있었다. 가령 스님들은 왜 머리를 빡빡 갂아야 하는지, 그리고 천주교의 사제나 신부님들 처럼 왜 결혼을 하면 안되는지 그리고 왜 채식만 해야 하는지 등등. <불교에 관한 사소하지만 결정적인 물음 49>은 이러한 궁금증 들을 해결해 주는 책이다.



어디다 대 놓고 물어보기 애매한 49가지 물음 들로 구성 된 이 책은 순서에 상관없는 물음들의 나열로 사실 아무 페이지나 펼쳐놓고 보아도 된다. 각 물음이 49개의 챕터로 되어 있으며 각 챕터는 3~4장 분량이니 책 앞의 차례를 보고 궁금한 질문 들만 찾아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질문 자체가 아니라 그 질문들을 통해 우리가 불교에 대해 좀더 많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질문들은 스님들은 왜 삭발을 하는가? 절에서는 왜 새벽 3시에 기상하는가? 스님들은 언제부터 채식을 했나? 무소유는 정말 아무것도 가지지 않아야하는가 등의 비교적 가벼운 질문들 부터, 선종에는 왜 6조까지만 있을까? ‘무아’를 이야기하는데, 어떻게 윤회가 가능한가? ‘천상천하유아독존’은 나만 존귀하다는 뜻인가? 등의 상대적으로 무거운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각기 다른 성격의 질문들은 한 가지 공통적인 석가모니의 정신을 담고 있는 듯 하다.



이 책을 통해 불교에 대해 배운 가장 큰 줄기는, 불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신의 길을 따르는 것이 아닌 인간의 길을 따르는 것이며 믿음보다 자기 자신의 슬기로움을 따르는 것을 가르치는 종교라는 것이다. 즉 자기주도적 방식으로 깨달음을 구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것을 권하는 종교라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의 종교는 불교가 유일한데, 불교적 입장에선 신이란 인간의 나약과 미망을 먹고 자라는 헛것에 불과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도 인간이 창조한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현재 진행형인 불교사상과 역사와 문화를 두루 섭렵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해박하진 않더라도 불교에 대한 지적인 대화를 나눌 수준에 이를 수 있는 길 또한 이 책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これ、要(い)る?: 이거, 필요해?

要(い)らない。: 필요없어.

返事(へんじ)は要(い)らない。: 대답은 필요없어.



Samsung BioLogics, a producer of complex biologic drugs for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companies, offered its shares for sale to the public on Wednesday, a week ahead of its IPO. One out of 4.1 investors grabbed the chance to purchase shares Wednesday, which seems to be relatively less popular than its affiliates, Cheil Industries and Samsung SDS, both of which were listed in 2014. “Investors seem to be taking a wait-and-see attitude given it’s the first day,” said a brokerage house spokesman. 

Investor sentiment in biopharmaceutical shares worsened recently largely due to a recent trading scandal involving Hanmi Pharmaceutical. The company, listed on the Kospi, is accused of leaking inside information about its termination of a contract with German drugmaker Boehringer Ingelheim to enable some investors to dump their shares ahead of the announcements. Its share prices have nearly halved since Sept. 30, the day the company announced it was ending the deal. The drug-manufacturing unit of Samsung has offered 3.38 million shares, or 20 percent of the shares it will debut on the benchmark Kospi, to interested investors during the two-day sale. Shares are priced at 136,000 won ($118), the top end of the company’s range, after 97 percent of institutional investors expressed willingness to pay 113,000 won to 136,000 won. 

The biologic drug manufacturer, one of the world’s largest, aims to raise 2.25 trillion won through its IPO, which could become the second largest in the world this year after Dong Energy’s $2.6 billion listing on the Copenhagen Exchange in June. Following the IPO, the market cap of Samsung BioLogics is expected to reach as much as 8.99 trillion won, landing it among the top 30 listed companies on Korea’s main bourse. Samsung C&T owns 52.1 percent and Samsung Electronics has a 47.8 percent stake in Samsung BioLogics. Samsung, the world’s top producer of smartphones, TVs and memory chips, is now betting on biopharmaceuticals for growth. The global market for biosimilar products, the lower-cost copies of complex biotech drugs, was $2.29 billion last year but is forecast to skyrocket to $6.22 billion by 2020, according to market researcher MarketsandMarkets. 

With capital raised through the IPO, Samsung BioLogics plans to build a factory with the additional annual manufacturing capacity of 360,000 liters by 2018. Private investors may purchase shares through six brokerage houses: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and NH Investment & Securities are handling the IPO. The shares are also available from Samsung Securities, Shinhan Investment, KB Investment & Securities and Hana Investment.




'Interesting > Impressive Advertisem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Brilliant Advertising Posters With High Impact  (0) 2016.11.14
55 Brilliant Advertising Posters With High Impact  (0) 2016.11.11
AGAINST RACISM  (0) 2016.11.09
Science World Scales  (0) 2016.11.08
Science World Trees  (0) 2016.11.07

모든 것은 마음이 앞서가고 마음이 이끌어가고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나쁜 마음으로 말하거나 행동하면 괴로움이 저절로 따라온다.
수레바퀴가 황소 발굽을 뒤따르듯이.

- 법구경



[도서]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신형덕 저
스마트북스 | 2016년 10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과거의 사고방식에 고착되어 있는 한국 기업들이 마이클 포터와 제이 바니의 전략이론을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자명하다고 생각된다.


얼마전에 <당신의 경쟁전략은 무엇인가?>를 통해 전략경영의 아버지라 부르는 마이클 포터의 성공전략 지침을 배울 수 있었다. 이번에 읽게 된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는 또 다른 전략의 대가인 유타대학 석좌교수인 제이 바니가 제시하는 기업의 경쟁력과 관련된 이론을 다루는 책이다. 마이클 포터와 상대적 대척점에 있는 제이 바니의 이론은 ‘자원기반이론’을 중심으로 모방 불가능한 경쟁우위를 만들 수 있는 통찰을 제시하는 이론이다. 제이 바니는 ‘Poter is wrong’이라고 말하면서 포터의 이론을 정면으로 비판하고있다. 그가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마이클 포터는 그 유명한 5세력 모형(Five-force)을 통해 어떻게 산업분석을 하고 그 분석을 통해 기업의 경쟁전략을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잠재적 진입자와 공금자, 경쟁자, 구매자, 대체제를 각각의 세력으로 보고 경쟁기업이 상대적으로 약세에 있는 세력들을 공략하기위한 전략을 통해 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는 확실하고도 강력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니교수는 전략은 경쟁자를 상대로 싸워 이기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의 잠재적 역량을 발휘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 근거로 경쟁자를 상대로 싸워 이기는 노력만으로는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포터의 이론이 가진 한계점을 현재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비교하면서 3가지 한계점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다. 결국 기업은 모방 불가능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데 이 모방 불가능성의 조건으로 ‘자원기반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자원기반 모델은 경로의존, 사회적 복잡성, 인과적 모호성 그리고 특허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속적 경쟁우위를 만들기위한 가치 있는 자원을 보유하고 이는 희소성이 있어야 하며 다른 기업이 모방 불가능함과 동시에 조직 배타성이 존재해하게 만드는 원천이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제이 바니의 자원기반모델을 각각 설명하고 다른 전략이론들과 자원기반이론을 비교 분석하여 조직을 바꾸는 힘으로서 자원기반이론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이 책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자원기반이론의 핵심은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지속적 경쟁우위의 원천이 기업 외부가 아닌 바로 기업 내부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 잠재력을 발견하는 것이 경쟁 기업과 싸우지 않고도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힘을 길러줄 것이라고 말한다. 이 이론은 비단 기업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는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체계적 성찰을 본인의 내부에서 찾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데 그 근거가 있다. 사실 제이 바니는 포터의 이론과 대척점에 있는 이론이라고 주장하지만 조안 마그레타가 <당신의 경쟁전략은 무엇인가?>를 통해 포터의 재차 설명했듯이 두 사람의 이론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부분은 같아 보인다. 경쟁을 통한 비교가 아닌 다름을 통한 지속적 성장 동력을 찾는것은 두 사람의 이론 모두에 해당하는 부분이니 말이다. 아무튼 과거의 사고방식에 고착되어 있는 한국 기업들이 마이클 포터와 제이 바니의 전략이론을 귀담아 들을 필요는 자명하다고 생각된다.



人(ひと)は同(おな)じ失敗(しっぱい)を繰(く)り返(かえ)す。: 사람은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母(はは)は何度(なんど)も繰(く)り返(かえ)して説明(せつめい)した。: 엄마는 몇 번이고 반복해서 설명했다.

繰(く)り返(かえ)す日々(ひび)。: 반복되는 나날.



The monthly pay of contract and part-time workers rose 1.8 percent in August from last year, while the figure for salaried employees grew even faster at 3.7 percent, further widening the gap between those holding stable and unstable jobs, according to the latest data released by the country’s statistics agency on Thursday. The average monthly pay of part-timers was 1.49 million won ($1,306) in August and 2.79 million won for salaried employees. 

“The wage gap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recorded 10.5 percent, a rise of 0.3 percentage points compared to last year,” said Shim Won-bo, a director at Statistics Korea. “There are more contract workers enrolled in health and employment insurance programs from their companies, while fewer people are enjoying national pension benefits compared to the past.” The data suggests that contract workers are accepting any job available regardless of the type of benefits they receive from the employer. These part-timers are getting more retirement benefits and overtime payment, but other benefits like bonuses and amount of paid vacation have been dropped. The number of contract workers and part-timers hit 6.44 million in August, a 2.8 percent increase from last year, and they now account for 32.8 percent of the total working population in Korea. 

Around 53 percent of such workers said they chose to work at their current jobs voluntarily, which is 2.8 percentage points higher compared to last year. They worked an average of two years and five months at their jobs, a month longer than last year. Women make up a majority of part-timers, close to 55 percent, and the number continues to rise each year. Statistics Korea data suggested this might be because women were more willing to settle for less pay, as 54.2 percent of economically inactive women seeking work said they want to make 1 to 2 million won a month. Other government data released Thursday showed that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including students and retirees, fell 0.5 percent in August year on year to record 15.94 million. 

Around 35.9 percent of those not currently working said they were focusing on housework, and another 24.9 percent are currently in school. About 16 percent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are thinking about getting a job or starting a new business within a year. Of those who said they would like to do so within a year, 46.9 percent said they were fine with earning less than 2 million won a month. The portion of those who felt they were too old to work rose 0.7 percentage points from last year to reach 13.4 percent.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lice Insult Law Row  (0) 2016.11.11
Samsung BioLogics interest tepid  (0) 2016.11.10
UN Secretariat under New Leadership  (0) 2016.11.08
Bears takes the Series 4-0, pennant and KBO in hand  (0) 2016.11.07
What Defines a Successful Movie?  (0) 2016.11.04


'Interesting > Impressive Advertisem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Brilliant Advertising Posters With High Impact  (0) 2016.11.11
FRIENDS OF THE EARTH: INHALE  (0) 2016.11.10
Science World Scales  (0) 2016.11.08
Science World Trees  (0) 2016.11.07
Science World Pencils  (0) 2016.11.03

비범한 업적을 성취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은
친숙한 것을 못 참아내고 싫증을 내며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반대로 미지의 것에 놀라거나 위축되는 사람들은
그들의 전문분야 속에 갇혀서 최소한 그의 일생동안,
그리고 자신의 자식들에게까지도 이렇게 사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하워드 가드너, ‘창조적 인간의 탄생’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