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

매티 롱 글그림/김혜진 역
스콜라 | 2016년 11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을 아이들과 함께 즐기다 보면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가정이 될 수도! :)


제목부터 신나고 행복한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 그냥 읽는 책이 아니라 아이들과 함께 한바탕 신난 모험을 떠나볼 수 있는 책이다. 귀여운 캐릭터들과 알록달록한 색으로 무장한 이 책의 표지는 아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해 보인다.


대분분의 아이들은 이야기를 좋아한다. 특히나 친구들과 함께 떠나는 모험 이야기는 아이들 이야기 거리의 단골 메뉴!



여기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이있다. 이 숲에 사는 동,식물들은 일 년 내내 신나고 재미있게 뛰어놀 뿐만 아니라 날마다 소풍이다! 아이들에겐 천국과도 다름없는 이 곳은 신비한 생명의 크리스탈 덕분에 즐거운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사건의 발단은 크리스털의 도난! 이 숲의 가장 중요한 크리스털을 누눈가가 훔쳐간 것이다. 행복한 숲의 모두를 구하기 위해선 하루빨리 크리스털을 되찾아야 하는데... 숲의 나무가 아무래도 고블린의 짓인것 같다며 고블린 탑으로 크리스털을 되찾아가자고 제안한다.



숲에서 가장 용감한 후피우스, 허버트, 트윙클, 블로섬, 트레버가 원정대로 뽑히고 서둘러 원정을 떠나게 된다.



원정대의 첫 시련! 꽁꽁 언 산봉우리를 지나면서 무시무시한 녀석들과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겁나게 오싹한 유령의 숲도 통과해야 한다. 여기서 놀지 말 것, 장난아님! 이라고 씌여있는 표지판 눈이 여럿달리 버섯과 유령들 그리고 괴물들까지 가득한 정말 오싹한 유령의 숲이다.



과거 아케이드 게임에 등장할 만한 지하 감옥. 정말 당장이라도 움직일것 같은 몬스터들이 실감나게 표현되어 있다. 구석구석 잘 살펴보면 재미있는 그림들이 많이 있으니 아이들과 하나씩 꼼꼼히 살펴보는 것도 이 책을 즐겁게 보는 방법 중 하나!



험난한 여정이지만 배고픔을 참을순 없지! 하지만 험난한 여정에는 도시락 먹는 것도 여의치 않은 듯 하다. 도시락을 먹는 와중에도 위험한 적들의 공격을 계속 받는 우리의 주인공들!



험난한 여정 끝에 드디어 고블린 탑. 하지만...



분명 크리스털을 훔쳐 갔을거라 생각했던 고블린들은 너무너무 착하고 파티를 좋아하는 것이 행복한 숲속의 친구들과 다름없어 보였다.



알고 보니 크리스털을 훔친 범인은 아주아주 행복한 숲속에 있었다는 놀라운 사실! 우리의 용감한 원정대 용사들은 재빨리 숲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범인은 바로 고블린에게 죄를 뒤집어 씌우려 했던 나무였다! 나무가 바로 대마왕! 등잔믿이 어둡다는 사실을 다시금 실감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우리의 용감한 다섯 용사들이 있으니 대마왕의 뜻대로 되지는 않을 것이다!!



용감한 다섯 용사들의 활약으로 결국 대마왕은 자신과 어울리는 곳으로 가버리고 대단한 원정은 드디어 막을 내리게 되는데...



이제 크리스털도 찾고 평화도 되찾은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에선 이전과 같이 매일매일 신나는 일이 일어나겠지? 



이 책의 또 다른 매력 독후활동!

동봉된 지도를 펼치면 다섯 용사들의 여정을 그대로 재현한 큰 지도가 있다. 한 눈에 어떤 여정이 있었는지 아이들과 함께 복기해 보고 또 전체 그림을 그려볼 수 있다.



그리고 함께 제공되는 스티커로 지도를 꾸며보자!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함과 동시에 재미있는 놀이로 독후활동을 마무리 할 수 있다.


단순하게 읽고 끝나는 책이 아니라 아이들로 하여금 독후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마법의 숲>. 아이들과 함께 즐기다 보면 아주아주 엄청나게 행복한 가정이 될 수도! :)

何(なに)を言(い)ってるんですか。: 무슨 말을 하는거예요?

そんなこと言(い)わないで。: 그런 말 하지마.

一言(ひとこと)言(い)わせて。: 한마디 할게.



After dominating the local KLPGA tour with seven titles just this year alone, Korean power hitter Park Sung-hyun announced Monday that she would join the U.S.-based LPGA tour next year. Park, currently ranked ninth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latest Rolex Rankings, has had her best season since her pro debut. She finished at the top of the KLPGA circuit in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scoring average, driving distance and official money rankings. In the middle of her busy Korea-circuit schedule, Park even managed to play abroad in various U.S.-based tour events under invitation, including the U.S. Women’s Open in July and Evian Championship in France in September, where she finished third and second respectively. “It was a fruitful year for me,” Park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in Seoul on Monday. “Going to the LPGA has been my dream since I was little, and I have decided now is time. “I have mixed feelings, anxiety and excitement all at the same time about going to the United States next season, but I am going to take things one step at a time.” 

Park gained membership to the LPGA after earning $682,000 this year from the U.S.-based events in which she participated under invitation. That puts her within the top 25 on the LPGA Money List. According to LPGA regulations, a non-member who earns an amount of mone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mount of official money won by the member who was in 40th place on the Money List at that time” may be given full LPGA membership even without a win from the tour or having to go through the LPGA qualifying school. Park is the first Korean golfer to join the LPGA by exploiting this rule. “I’ve been saying all year long that I was not entirely sure whether I should join the LPGA, but frankly, I leaned toward joining the tour,” Park said. “I asked players who are on the tour already, and all of them told me to come, which put me at ease.” 

Park, who averaged 265.6 yards this year in driving distance, will join the power-hitting club that includes golfers Joanna Klatten of France and Lexi Thompson of the United States, who are ranked first and second in this year’s LPGA tour with average driving distances of 281.37 yards and 277.606 yards, respectively. Park’s compatriot, Kim Sei-young, is listed fourth in the category with 271.977 yards on average. In order to maximize her competitive edge in the LPGA, Park is taking time off to prepare for next year and focus on perfecting her plays. “The LPGA season starts early next year, which is why I decided to end the year early even though the season in Korea is still ongoing,” Park said. “I was on the verge of crying on Sunday [the final day of the Fantom Classic, her last KLPGA event of the year].” “I am going to make my debut in January at the Pure Silk Bahamas LPGA Classic,” Park said. “I will try to win the rookie of the year award, which I did not get in the KLPGA.” The golfer cited her comfort with playing in the United States as the reason behind her success thus far. Still, she is without a title from the LPGA, and a trophy is part of Park’s ambitions. She says she wants to compete against players like No.1 Lydia Ko of New Zealand and No.2 Ariya Jutanugarn of Thailand to win her first title on the U.S.-based tour. 

Sema Sports, a Seoul-based agency, has already prepared a home for her in Orlando, Florida. “Park will leave Korea this weekend with her coach, caddy and English tutor, who will help her settle in the United States,” the agency said. Park will join a pool of Korean players already competing on the American pro golf tour, considered the most talented bunch in the golf world. Korea has 24 players ranked in the top 50 on the Rolex Rankings, and out of the 30 LPGA tour events played this year so far, Korean golfers have won nine titles, the most out of any country.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mp affirms U.S.-Korea alliance  (0) 2016.11.16
Fusion Cuisine in the Food Scene  (0) 2016.11.15
Police Insult Law Row  (0) 2016.11.11
Samsung BioLogics interest tepid  (0) 2016.11.10
Wage numbers grim for part-time workers  (0) 2016.11.09


무언가를 발명하고 싶다면 아주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이해받지 못할 것도 감수해야 한다.
기존과 다르고 새로운 것들은 처음에는 항상 오해를 받는다.
이런 종류의 오해와 비난을 감당할 자신이 없다면
뭐가 되었든 새로운 일을 시도해선 안된다.

- 제프 베조스, 아마존 회장



[도서]공무원 생활영어 150제

Mary Katherine Chadwick 저
박문각 | 2016년 10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생활영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의 질만을 따져보아도 분명 훌륭한 책이다.


박문각영어연구소에서 편저한 공무원 생활영어 150제. 공무원 전문 원어민 강사가 집필한 책으로 생활영어 150제와 5개년 생활영어 기출문제가 수록되어 있다. 거기에 생활영어의 필수라 할 수 있는 Idiom checklist가 800개 이상 수록되어 있는 책이다. 



박문각영어연구소의 기본적인 학습 콘텐츠 개발은 실용과 효과를 기반으로 한 학습법을 주요로 한다. 실제 박문각영어연구소에서 펴낸 책들을 보면 꽤나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컨텐츠라는 것을 느낄 수가 있는데 Host Word 스리즈나 영어의 핵, 동사 같은 책들을 접해본 사람들이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영어의 형태중 비즈니스 영어나 생활영어로 구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생활영어가 더 쉽다는 편견을 갖게 만들 수 있는데, 비지니스 영어보다 훨씬 많은 관용구나 구동사등을 사용해야 하는 생활영어가 더 많은 이해와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 관용구, 구동사의 경우 영어권 국가 특히 미국이나 영국쪽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무조건 외우기 식으로 밖에 접근할 수 밖어 없으므로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하지만 수많은 관용구나 구동사도 우선순위를 정해 차근히 정복해 보면 언젠간 원어민 같이 유창한 영어를 뽑낼 날도 오지 않을까?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초반부터 150제를 정확히 스케쥴링 할 수 있도록 스스로 작성하는 스케쥴 표도 제공한다. 본인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도 하고 본인 스스로 세운 목표를 차근차근 달성 하면서 느끼는 성취감도 맛볼 수 있겠다.



실제 내용으로 들어오면 아주 심플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시험처럼 문제와 보기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 있고 여백에 잡다한 설명들이 없다.



문제만 눈이 빠져라 쳐다보다 보면 쉽게 지칠 수 있으므로 중간중간 "Take a break" 코너를 두고 재미있는 관용구 들을 소개한다.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이 "낸들 알겠니?"라는 뜻이라니... 관용구의 세계는 정말 넓고더 험한 것 같다.



150제를 다 풀고 나면 5개년 생활영어 기출문제 30제를 만날 수 있다. 언제 재활용(?)될지 모를 일이니 수험생이라면 기출문제를 놓쳐선 안되겠지?



정답파트도 문제 파트 만큼이나 심플하다. 대신 각 문항에서 사용되었던 문장들의 해석과 어휘들을 정리해 두었으니 알쏭달쏭 했던 문장들과 어휘들을 꼼꼼히 확인해 보면 좋을 듯 하다. 물론 제일 아래의 해설도 꼼꼼히 챙겨보자.



책의 마지막은 Idion Checklist가 수록되어 있다. 803개 정도의 Idiom들이 엄선하여 수록되어 있으니 idiom을 위한 책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방대한 양인 것 같다. 피가되고 살이될 idiom 들이니 꼼꼼히 챙겨야겠다.



공무원 생활영어 150제는 아무래도 문제 위주의 책이라 여타 박문각영어연구소에서 만든 책과는 다른 느낌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답게 군더더기 없는 구성이 돋보이는 책이라는 생각이든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 본 적도 도전해 본 적도 없지만 생활영어 학습을 위한 콘텐츠의 질을 따져보면 분명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入(はい)ってもいいですか。: 들어가도 됩니까?

入(はい)る前(まえ)に、名前(なまえ)を書(か)いてください。: 들어가기 전에, 이름을 써주세요.

入(はい)ってはいけません。: 들어가면 안됩니다.



Police Insult Law Row

Study/English 2016. 11. 11. 09:39

When there is a problem, whether it be little things like arguments to car accidents, people say “Let’s call the police.” When they arrive, the quarrels stop and everything is settled by law. 

Not only in disputes are the police needed. Many are also there to control the traffic in busy roads and look for drunk drivers or speeding vehicles. They are also called the ‘canes of the public,’ since they help the public live a comfortable life. 

A problem related with the police is being talked aboutThe law that allows the police to arrest anyone who insults them is the problem. Incidents of these arrests are increasing, with 86 per month last year to 110 this year. The law gives power to the police, who are sometimes mistreated by people. 

Due to this law, many are not as aggressive to the police as before and now look up to them. It also helps them carry out their duties more easily, with less people arguing and giving insults. All in all, it seems that the overall problem solving process is going about more swiftly

The abuse of the law is what is creating the fuss. With the power of the law behind them, some police are abusing it for their personal purposes. Some have used it for revenge for past quarrels. This is not illegal, since the law allows it and no legal punishments are made for such policemen. 

There being no exact guidelines to the limit of ‘insulting’ is also problematic. The police arrests people when they feel insulted and there are no exact standards for insulting an officer. If a person looked oddly at an officer and he thought badly of this, the innocent civilian is eligible for arrest just because he looked at the police. 

A third problem is related to these officers’ behaviors. The law gives them supreme power over the ordinary citizen. Many feel uncomfortable, since some policemen are not treating them kindly, but are aggressive toward problem makers. Though this has resulted in fast problem solving, it has also led to unjustly arrested people and a more negative image of the overall police system.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sion Cuisine in the Food Scene  (0) 2016.11.15
Park Sung-hyun to join the U.S. LPGA tour  (0) 2016.11.14
Samsung BioLogics interest tepid  (0) 2016.11.10
Wage numbers grim for part-time workers  (0) 2016.11.09
UN Secretariat under New Leadership  (0) 2016.11.08


신이 인간에게 두 개의 눈과 귀 하나의 입을 준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즉
한번 말할 때 두 번 보고 두 번 들으라는 뜻이다.
더군다나 듣는 데는 돈이 들지 않으니 이 얼마나 좋은가?
남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려는 노력은 언제나 보상받는다.

- 알렉스 퍼거슨 전 유나이티드 맨체스터 감독, ‘리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