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늘 과거의 자신을 극복하기 위해 애쓴다.
달리기에서 이겨야할 상대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과거의 나 자신이다.
다른 사람을 이기든 지든 신경 쓰지 않는다.
그 보다는 나 자신이 설정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 없는가에 관심을 둔다.
작품이 내가 설정한 기준에 도달했는가 못했는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무라카미 하루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서



Muslim Hate Crimes and Islamophobia on the Rise

In the wake of the Paris attacks, the Muslim community around the world has faced much hatred and hate crimes. In Britain, more than 100 racial attacks were made in public places, including public transportation. Most of the victims were between 14 to 45 years old who are Muslim girls and women wearing hijab, the traditional Islamic dress. These attacks are believed to be underestimated due to many other victims who are too terrified to report to the authorities. In schools, Muslim children also experienced intensifiedbullying

In the U.S., Islamophobia and hate crimes continue to rise.Mosques have been threatened and vandalized by Muslim haters in many states. People fear getting on board on the same plane where there are people who look like Muslims. Students also suffer Islamophobia on the school grounds. Perhaps the largest crusade is the Congress’s move to cease the assistance and resettlement of Iraqi and Syrian refugees. On the other hand, Muslims have been unable to go to their mosques for fear of their lives. 

Some Muslims feel that when the French President Francois Hollande declared war on terrorism, he placed Muslims at the frontline of the victims of terror. Many people also fear that the people’s retaliating attacks and hatred on Muslims is playing exactly to the terms of ISIS that wishes to split society and turn the people against each other. Many Muslim leaders remain hopeful and tell Muslims to continue reporting assaults, practicing their faith without fear, and inviting non-Muslims to enlighten them more about Islam. 

To combat Islamophobia, a Muslim student named Yusf Pirot from Nottingham took his campaign against discrimination with open arms to the streets. He stood on the street blindfolded and offered free hugs. A sign that reads “I trust you, do you trust me? Give me a hug” hung around his neck. He wished to send a message to everyone that there are 1.7 billion Muslims in the world but it does not mean that every single one of them is a terrorist. He was surprised by the people’s response as many people came close to give him a hug. The footage of his social experiment went viral and was viewed on YouTube over two million times and has touched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Many say that at this time of chaos, people need to be reminded that violence and hatred are not the way to be free from the deadly grips of terrorism.



5. 아첨은 내 생리에 안 맞아


What he does to her is really nauseating. Flattery is foreign to my nature.





불안감을 지우려고 아무리 노력해도 지워지지 않는다.
억지로 불안감을 지우려하기 보다는
그게 현실이야. 그게 자연스러운 거야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불안할수록 나름대로 앞날을 내다보려는 노력을 해서
어떤 변화가 감지될 때 재빨리 대응할 수 있게끔 준비를 하기 때문이다

바로 불안감이 갖는 효능이다


- 모리카와 아키라, ‘심플을 생각한다에서




Intelligence Quotient versus Emotional Quotient: Which is More Important?

A person’s Intelligence Quotient (IQ) is an assessment of human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of a standardized test and the Emotional Quotient (EQ), is the measure of a perso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debate as to which one of these two should be given more importance has been going on for decades. Even psychologists, experts in the field of the human mind and its functions, have divided views about this issue. 

Some specialists suggest that a person’s IQ should remaindominant over the EQ for the simple reason that a person’s intellect is genetically predisposed and it cannot be altered by any kind of training. This is unlike emotional capabilities and skills that can be learned through practice and even therapy. They add that intelligence is very fundamental and basic. For a person to be able to do a certain action correctly, he or she must first learn and fully understand what should be done. Without intellect, it will be difficult for a person to learn, comprehend and act accordingly. 

There are also those who believe that IQ levels are primary determinants of success. For them, it is more likely for people with higher IQ levels to succeed in overcoming difficult tasks and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believe that one’s EQ should be given more importance emphasize that the EQ can give a person the competitive edge. People may be intelligent but if they do not possess the correct attitude and behavior then their mental power will just go down the drain. They add that in this time and age, solely relying on intellect won’t guarantee survival especially that people are highly dependent on social networking andinterrelationships

Some employers and businessmen now give more importance to one’s EQ than IQ. This is because research shows that higher EQ levels may mean better leadership skills and collaboration abilities, traits that are essential for employees, managers and business leaders to have. 

All in all, there is still no definitive answer as to which is more important. Some even believe that it is the good combination of IQ and EQ skills that can make a person successful. Experts advise people not to give too much focus on these two different quotients as they are just measurements of a small portion of a person’s whole being. They say there are far more factors that contribute to one’s success aside from one’s IQ and EQ.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slim Hate Crimes and Islamophobia on the Rise  (0) 2016.02.18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18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17
‘Mata Hari’ and Musical Star Ock Joo-hyun  (0) 2016.02.16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16

4. (공개적으로) 찬사를 보내다.


Sampras paid tribute to Agassi. "He had an incredible year and deserves to be No.1," he said.





진정한 행복은 항상 눈물과 환희, 땀과 함께 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나는 무엇이 성공인지를 생각합니다.
성공의 성()은 자기를 이루는 것이고,
()은 공덕을 쌓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자기를 성취하고 다른 사람을 도와야
비로소 진정한 성공의 의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
마윈, ‘알리바바 마윈의 12가지 인생강의에서



[도서]애인의 애인에게

백영옥 저
예담 | 2016년 01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애인의 애인에게"는 백영옥이라는 좋은 소설가를 알게 해준 책이다.

성주를 둘러싼 세 여인 정인, 마리, 수영의 이야기, <애인의 애인에게>. 자극적이면서도 심연의 감정과 감성들을 골고루 매만지는 소설이지만 심상치 않은 스토리의 전개와는 어울리지 않게 문체가 담담하며 감정적이지 않고 저돌적이지 않은 차분한 소설이다. 어찌 보면 온기를 완전히 제거해 버린 차가운 소설이라는 느낌마저 든다. 그렇다고 해서 냉철하고 무심한 느낌의 소설은 아니며, 사랑을 정의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정인과 마리, 수영은 성주라는 한 남자와 얽혀있지만 셋의 관계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띄고 있다. 정인은 성주를 짝사랑하고 있고, 마리는 성주와 결혼하여 살고 있는 부인이며, 수영은 성주가 사랑하는 연상의 여인이다. 이야기는 세 여인의 파트로 나뉘어 진행이 되는데 먼저 정인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성주를 짝사랑 하는 정인은 마리와 성주가 서블렛으로 내놓은 집에 1달간 살면서 그들이 없는 그들의 삶에 잠시 스며들었다 돌아온다. 정인이 머물렀던 집에서 그녀가 채취한 마리와 성주의 삶은 위태로움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며 이후에 전개될 이야기들의 복선을 깔아주는 역할을 짧게 하고 퇴장한다. 이후 이어지는 마리의 이야기는 본 소설의 근간을 이루는 줄거리를 모두 다루며 필연적인 사랑의 실패를 필연적인 예술가의 실패와 나란히 만들고 있다. 사랑의 끝을 보고 자신의 생을 끝내려 하는 소설 속의 마리는 유별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우리는 누구나 마리가 될 수 있으며, 우리가 하는 사랑은 우리 몸이 좌우 비대칭인 것처럼 항상 한 쪽이 크고 반대쪽은 상대적으로 작다. 자명한 사실인데도 우리는 그 사실을 항상 잊고 사랑하고 있으니 매번 같은 아픔을 겪고도 다시 처음과 똑 같은 사랑을 찾는지도 모르겠다.

 

마리 못지않게 큰 상처를 갖고 살아가고 있는 수영은 사랑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의했다.

 

인간은 각자의 사랑을 할 뿐이다.

나는 나의 사랑을 한다.

그는 그의 사랑을 한다.

내가 그를 사랑하고, 그가 나를 사랑할 뿐, 우리 두 사람이 같은 사랑을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사실을 깨닫자 너무나 외로워 내 그림자라도 안고 싶어졌다.

 

이 단순한 사실을 발견하기 위해 우리는 그토록 많은 사랑을 했고 또 계속하고 있는가 보다.

 

<애인의 애인에게>는 백영옥이라는 좋은 소설가를 알게 해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