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근시사회

폴 로버츠 저/김선영 역
민음사 | 2016년 01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충동으로 하루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따끔한 일침을 주고 탈 근시사회를 위한 해법을 제시하는 책




이 책의 원제는 THE IMPLUSE SOCIETY충동사회라 번역되어야 하지만 근시사회가 책 전반을 관통하는 문제의식과 더 적합하다는 판단으로 <근시사회>라는 제목으로 번역 되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번역본의 제목을 결정하는데 원작자의 동의를 얻었다는 점도 인상 깊은 책이다. 책이 다루는 전반적인 주제는 미국 사회의 시장경제와 관련된 패러다임의 변화이며 과거의 노동자가 이제는 철저한 소비자가 되었으며 시장과 정치가 결탁하여 소비자를 더욱더 철저한 소비자로 만들고 소비지향의 사이클을 끊임없이 돌리고자 하는 것을 비판한다. 현대사회는 사방에 충동이 만연한 사회이다. 누구나 부자를 꿈꾸고 누구나 새로운 것을 원하고 누구나 개인화된 소비를 즐기는 사회. 이러한 사회는 겉으로 보기에는 효율성을 추구하며 끊임없이 발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소비의 끝은 파괴라는 점에서 충분히 경계해야 할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효율성을 외치며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끊임없이 쏟아지는데, 정작 우리의 삶의 질은 그에 비례하여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우리의 소비 행위는 우리의 자유 의지로 이루어지는가? 효율성이 파고든 우리의 일상에 편리함이 자리하고 인간성을 몰아내지는 않았는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배경과 답변을 이 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무서운 것은 우리 모두 무언가 찜찜함을 느끼면서도 그 원인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며 과거와 달리 개인화된 조직들도 그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회는 점점 세밀하게 분열하고 있고 종내 개개인 만이, 아니 개인마저도 분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분석으로 현대사회의 병폐와 그 원인 그리고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을 거꾸로 개개인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정치에서부터 소비자 선택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전반에 걸쳐 극도로 근시안적인 성향을 보이는 현대인들은 그들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의 가족, 공동체 더 나아가 국가에까지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러한 성향의 배경에는 효율성 이데올로기를 원동력으로 삼은 정계와 재계가 있으며 현대인들이 자각하고 바꾸어 나가기에는 그 한계가 분명히 보인다. 다른 미래학자와 통찰력 있는 석학들의 분석과 대안대로 이 책의 저자 폴 로버츠는 근시사회의 병폐를 고칠 대안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위한 공간의 창출을 제시한다. 신중함과 화합 계획성과 준비성을 칭송하던 사회로 회귀하는 것이 그 근간일 것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행위로서 소비를 통한 효율성을 지양하고 화합을 위한 비효율성이 강조되기도 한다. 가령 바쁜 시간을 쪼개어 가족간에 식사를 하며 대화를 나눈다던가, 식사는 외식대신 집에서 손수 만들어 먹는 다던가, 식사 후에는 드라이브 대신 산책으로 기분전환을 한다던가 하는 비 소비지향적인 행위들 말이다. 단순하지만 이미 소비를 통한 효율성(사실 냉정히 볼 때 효율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에 중독된 현대인들에게는 담배나 마약 같은 끊기 힘든 달콤한 유혹일수도 있겠다. 하지만 충동사회가 우리를 조정하도록 그대로 내버려 둘 수는 없을 터! 개개인이 자각하고 스스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두 눈 부릅뜨고 정치와 시장의 행보를 주시해야겠다.






Online Film Censorship

The Central Board of Certification of India filters all new movies before their release. This is to make sure that each film will not feature nudity, violence and other scenes that are offensive to religion and politics. Filtering is also done to distinguish the type of audience that will be allowed to see each film. India’s film regulatory body is strict in implementing all its limitations hence making some film producers resort to under the table transactions and illegal deals just to make their movies pass the standards. 

To put a stop to the continuing increase of unlawful acts involving the censorship of Indian films, the regulatory board plans to do the whole censorship process online by 2016. With the use of the Internet, there will no longer be a need for film producers to physically be present at the board’s office to have newly made films reviewed. The online process will be done to promote absolutetransparency and lessen the possibility of malpractice and illegal transactions like giving of bribes

This plan, as seen by an ordinary film lover like me, has its good points and bad points. Using the Internet may expedite the review process of Indian films. The regulatory film body may create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system that will hasten film reviews for censorship. 

However, this does not address the problem on film producers still making films that feature unwanted content. People’s principles and beliefs may have changed drastically because of the increasing influence of modernization. However, this should not change the fact that all movies should go through a proper process of censorship. The Internet may help ease the process of checking the content of new films produced but it does not solve the bigger problem that film censorship is facing. 

Using online film censorship is a good move but it is only a small part of a bigger intervention that needs to be done. Taking advantage of the advancements of technology will add to the quality of service that the Indian film regulatory body can give in reviewing movies for censorship but it is not enough to restore, if not maintain the good quality of the Indian film industry. A bolder plan of action is needed as this may be the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of the film industry, not only in India but in other countries as well.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Two Sides of the Oil Price Collapse  (0) 2016.02.26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26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25
Coinless Society  (0) 2016.02.24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24

10. 물이 빠지다/들다


The color ran when I washed my red shirt, and now all my socks are pink!

Hold it! Don't put them in together. The dyes will bleed into one another.



'Study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26
Online Film Censorship  (0) 2016.02.25
Coinless Society  (0) 2016.02.24
English Expression Dictionary  (0) 2016.02.24
Here Come the Superfoods  (0) 2016.02.24



때로는 내 입술의 30초가
상대방의 가슴에 30년의 감동이 될 수도 있고,
30
년의 지옥이 될 수 있습니다.
내 작은 칭찬 한마디가
상대방의 마음을 30년 동안 살릴 수도 있지만,
상대방의 마음을 30년 동안 죽일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
승한 스님, ‘좋아 좋아에서



[도서]인류는 어떻게 진보하는가

자크 아탈리 저/양영란 역
책담 | 2016년 01월

내용 편집/구성 구매하기

소실된 ‘우리’의 개념을 다시금 일깨우고 지금 세계 곳곳에서 미미하게 움직이고 꿈틀대고 있을 이타성의 씨앗에 싹의 틔울 수 있는 단비가 되는 책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현재의 집합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현재()의 집합은 미래라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시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도 하겠다. 세계적 석학 자크 아탈리는 이 책 <인류는 어떻게 진보하는가>를 통해 인류가 진보해온 과정을 모더니티의 관점을 통해 해석해 보고 그 과정을 거울삼아 우리가 맞이할 미래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자고 말하는 듯 하다.

 

저자가 언급하는 모더니티는 사전적 의미의 현재성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듯하다. 저자는 모더니티에 대해 모든 시대에 있어서 한 사회가 미래에 품고 있는 개념, 그 사회가 미래에 대해 상상하고 소망하고 거부하는 것 등을 암묵적으로 뭉뚱그려 지칭한다고 했다. 즉 모더니티는 인류에게 있어 미래를 상상하고 준비하는 방법이나 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과거의 모더니티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모더니티를 생각해 보자는 것이 이 책의 큰 틀이라 할 수 있겠다.

 

과거 모더니티의 역사를 살펴보고 분류해 보자면 크게 실존 지향적, 신앙 지향적 그리고 이성 지향적 모더니티로 분류할 수 있다. 3가지 큰 모더니티의 프레임 안에서 인류가 발전하고 진보해 왔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실존 지향적 모더니티는 4세기 이전까지 인류의 모더니티로서 생존 지향적 모더니티라고 다르게 표현될 수 있겠다. 인류의 최대관심사는 생존, 안정이었으며 이를 위해 집단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이상적이라 상정했던 것이다. 생존 자체가 인류의 최대 목표였던 시기를 지나 각종 기술의 발달로 부를 축적하게 되면서 인류에게는 보다 진보한 모더니티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후 1500년동안이나 세상을 지배하게될 신앙 지향적 모더니티가 생겨났다. 모더니티의 전환은 아주 빠르게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서서히 변화를 겪어가면서 이전의 모더니티는 부정되고 기독교적 가치관과 세계관이 세상의 중심이 되었다. 하지만 절대로 무너질 것 같지 않았던 신앙 지향적 모더니티도 18세기 계몽시대에 접어들어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혁명을 거치면서 권력이 이양되어 붕괴되었다. 이후 등장한 것이 이성 지향적 모더니티 로서 이성과 합리성이 지배하는 세상이 도래하게 되었다. 이성 지향적 모더니티는 시장과 민주주의시대와 어우러져 근대에 가장 합리적이고 이상적인 모더니티로 여겨지게 되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 들어 시장과 민주주의의 맹점 즉 모든 사람들에게 이상적이지는 않다는 점들이 드러나면서 허무주의가 이상주의 모더니티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이후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모더니즘이다. 예술에 의한 사회변혁을 비롯하여 마르크스주의 등 기존 이성과 시장의 모더니즘을 완전히 거부하는 움직임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다시, 1950년대에 이성 지향적 모더니티가 더 많은 자유를 원하는 사람들의 갈망 속에서 돌아오게 된다. 이 때는 기존의 모더니티와는 다른 개념이 적용되는데, 사람들은 더 많은 자유, 작금의 자유를 갈망하게 되고 그와 더불어 쾌락을 요구하게 되는 컨템포러리의 시대로 탈바꿈한 것이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나 예측이 없는 작금의 순간순간만이 가장 소중한 시대가 그것이다. 이는 미래가 없다는 말과 다름이 아니다.

 

자크 아탈리는 컨템포러리시대에서 다음 세대(2030)의 모더니티로 하이퍼 모더니티, 비 모더니티, 복고 지향적 모더니티, 민족 지향적 모더니티, 신정정치 지향적 모더니티 그리고 생태 지향적 모더니티를 상상했다. 하지만 그는 미래 인류의 존속을 위해서는 가장 가능성이 적은 대안 모더니티로 이타적 모더니티를 제시했다. 중심의 이기적 모더니티에서 중심의 이타적 모더니티로의 전환이 인류를 지속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대안으로 보인다. 미래학자인 그가 던지는 이러한 화두는 소실된 우리의 개념을 다시금 일깨우고 지금 세계 곳곳에서 미미하게 움직이고 꿈틀대고 있을 이타성의 씨앗에 싹의 틔울 수 있는 단비가 될 수 있지 않은가 생각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