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에 내가 무엇이 되어 있을까를 항상 생각하라.
인생은 자기가 생각한대로 된다.
목표를 세우면 목표가 나를 이끈다.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꿈을 꾸어라.
달팽이도 마음만 먹으면 바다를 건널 수 있다.


-
정호승 시인





결점이 있다는 것을 부끄러워하거나 감춰서는 안된다.
나는 많이 배우지 못해 모르는 게 많다.
나는 내가 모르는 게 많다는 점을 모두에게 알리고
그런 결점을 보완 받았기 때문에
모두가 가진 역량을 끌어내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나의 결점을 주위에 널리 알려라.


-
마쓰시타 고노스케, ‘사업은 사람이 전부다에서




많은 사람들의 마음엔 사춘기 소녀가 산다.
다른 사람이 나보다 좋은 아이디어를 내거나
내 생각을 공격하면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무시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
이 예민함을 잠재우기 위해선
모든 사람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되
남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해선
신경 쓰지 않는 게 좋다.


-
게일 맥거본 (미국 적십자사 총재)





갈등은 우리를 똑똑하게 만든다.
갈등이란 말은 싸움과 불화, 공격과 충돌,
전쟁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를 먼저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갈등은 결코 해롭지 않다.
갈등에는 잠재력이 숨어있다.
업무 갈등은 성과를 올리는데 도움을 준다.
갈등은 팀을 활성화 시킨다.


-
토마스 바세크, ‘팀워크의 배신에서





소크라테스는 제자에게 이런 질문을 받았다.
우리가 엘리시움

(그리스 신화에서
선량한 사람들이 죽은 후에 사는 곳)에 도달하면
어떤 사람이 될까요?”
소크라테스가 대답했다.
지금 여기 있는 사람과 똑같은 사람이 될 것이다.”
내세가 있다면 우리는 지금 준비해야 한다.
내일을 위해서는 오늘 준비해야 한다.


-
엘버트 허버드, ‘인생의 서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당신은나는 부족하다라고,
다른 사람들만큼 재능이 없다라고 느끼는가? 좋은 징조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감정은 더 잘하고자 하는 추진력으로 작용한다.
자기만족적인 사람들은 큰일을 해내지 못한다.
그들은 의기양양하게 자만에 빠져 편안히 앉아 있기만 한다.


-
로드 주드킨스, ‘대체 불가능한 존재가 돼라.’에서




[YES24] ‘나는 부족하다’고 생각하는가? 좋은 징조다


가장 많이 득을 보는 사람은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베푸는 바로 당신이다.
(Who benefits the most is YOU who ask nothing in return.)
나누지 않은 성공은 곧 실패와 동의어다.


-
존 폴 데조리아 (존폴미첼시스템스 회장)





다른 사람들이 뭘 하는지 보려고 하지 마세요.
뭔가 잘나가는 걸 보면
그걸 복제하고 싶은 욕망을 떨치기 힘듭니다.
지금 핫(hot)한 걸 뒤쫓지 마세요.
지금 핫한 것은 이미 누군가가 해버린 겁니다.
다른 사람이 포기한 것, 안한 걸 해야죠.
진짜로 그걸 하면 됩니다.


- 데이비드 호바스 (제레미 구체, ‘어제처럼 일하지 마라에서)




오늘의 나를 완전히 죽여야 내일의 내가 태어나는 것이다.
새로운 나로 변신하려면 기존의 나를 완전히 버려야 한다.
너는 너의 불길로 스스로를 태워버릴 각오를 해야 하리라.
먼저 재가 되지 않고서 어떻게 거듭나길 바랄 수 있겠는가?


-
니체




미국의 한 연구소가
젊은 나이에 창업에 성공한 CEO 200명을 추적해본 결과,
10
년 후 그들 중 100명만 사업을 하고 있었고,
10년이 흐르자 50명만 사업을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공통점은
아이템이 좋거나 재무상태의 건전성이 아니었다.
바로 겸손한 자세로 직원들과 파트너들을 대한 CEO였다.


- ‘
도쿄대 교수가 제자들에게 주는 쓴소리(이토 모토시게)에서